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육아휴직 조건, 기간, 신청, 급여, 사후지급금, 거부 사유 총정리

by 몽3 2023. 6. 23.

육아휴직은 자녀를 돌보기 위해 일정 기간동안 일을 쉬는 권리인데요. 많은 분들이 직장생활을 하시다가 아이가 생겨 출산휴가나 육아휴직이 필요로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따라서 이 번 글에서는 육아휴직 조건, 기간, 신청, 거부 이유, 사후지급금 등 다양한 정보를 총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육아휴직 조건: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는 자격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녀가 만 8세 이하일 때
  • 신청인이 자녀를 실질적으로 양육할 수 있는 상황일 때 신청인이 근무한 기간이 1년 이상일 때

육아휴직 기간:

 

육아휴직의 최대 기간은 자녀 1인당 만 8세가 될 때까지이며, 원칙적으로 연속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2020년 7월부터는 사용 기간을 나누어 신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육아휴직 신청 방법:

 

본인이 속한 사업장의 인사 담당자에게 구두 또는 서면으로 육아휴직 희망 사실을 알립니다.

 

필요한 서류(육아휴직 신청서, 아동의 주민등록 등본, 기타 증명서류 등)를 준비하고 제출합니다.

육아휴직 급여 신청 방법:

 

육아휴직을 하면서 받을 수 있는 급여는 '육아휴직급여'로,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할 경우 한 달 최대 150만원(2021년 기준)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급여는 사후지급제로 운영되며, 급여 신청은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인터넷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1년 6개월, 사후지급금:

 

만 6세 미만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휴직한 근로자에게는 월 100만원 이하의 육아휴직급여가 지급됩니다. 이는 휴직 후 1년이 지나면 지급되는 사후지급금이며, 휴직 종료 후 3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거부 이유:

 

자녀의 나이가 육아휴직 신청 기준을 초과한 경우

 

신청인이 실질적으로 자녀를 양육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신청인이 근무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사업장의 운영상 중대한 지장이 예상되는 경우

 

이렇게 설명드렸지만, 정확한 정보는 해당 기관의 웹사이트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각 국가별로,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정책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가장 최신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습니다.

[[나의목차]]